훈요 10조, 불교 숭상, 사원, 산수, 풍수 지리설, 애민 정책, 유교의 민본 주의

80만대군이 있는 요나라 장수 소손녕이 편지협박을 보냈다고 한다
3. 서경 길지설은 북진 정책의 이론과 근거가 되었으며,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에도 이용되었다
사신과 상인들이 오가기 위험하기 때문이다
승격시키고 궁궐을 지어 왕이 머물기도 하였다
사심관 제도 태조는 신라 경순왕이 항복하자 신라를 통합한 뒤, 경순왕을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하여 부호장 이하의 향리를 임명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 이에 여러 공신이 이를 본받아 각기 자신의 출신 지역의 사심관이 되었다
권문세족이 신진사대부로 조선 건국을 이룬다
그런데도 고려는 서경 너머 북쪽 땅을 차지하고 있다
왕권 태조는 후삼국 분열의 가장 큰 원인을 무엇으로 보았나요?
최충헌은 봉사 10 조라는 사회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2. 신진 사대부들이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광종 승과를 실시하였고, 신망이 높은 승려를 국사와 왕사로 삼았다
불교 장려 정책등으로 나라를 안정시켰다
2. 사학 고려 중기에는 최충의 9재 학당 등 사학12가 융성하였다
2. 대장경의 조판 부처의 힘으로 외세의 침략을 물리치고자 초조 대장경, 팔만대장경을 조판하였다
이때 고려의 외교관 서희가 반대를 했다고 한다
북진 정책에 대한 왕건의 의지를 알 수 있다
달달달 외우는 암기도 같이 해야할 것 같다
거란의 언어와 풍습은 본받지 말아라 했다
왕건이 후손에게 남긴 10가지의 유언이다
사찰을 세우고 주지를 파견해라고 하였다
1. 관학 유학 교육 기관으로 개경에 국자감을, 지방에 향교를 설립하였다
기인 제도 지방 호족의 자제 중 일부를 서울에 있게 한 일종의 인질 제도이다. 통일 신라의 상수리 제도에서 비롯되었다
고려 태조는 훈요 10 조에서 팔관회와 연등회를 성대하게 치를 것을 주장하였다
농사 이앙법남부 일부 시행, 윤작법, 농상집요
1. 땅의 형세나 모양이 운명이나 개인의 삶에 영향을 준다는 이론이다
28개의 조항 가운데 22개만이 전해지고 있다
2. 신라 말에는 송악 길지설이 대두하여 고려 건국과 후삼국 통일을 뒷받침한다
1. 불로장생과 현세의 복을 추구하는 신앙이다
고려시대의 불교계는 교종과 선종의 분역과 대립을 융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
귀족의 지원을 받은 교종이 융성하여 각 종파의 분열이 심화되었다
요나라 장수 소손녕에게 담판을 지으러 달려갔다
5월이 곧 다가오는데 올해는 유난히 춥네요
고려시대 시작 하자마자 위기가 시작되었다
고려 시대 관리들에게 농토와 산림을 제공하던 토지 제도이다
훈요10조에도 고려를 세운 것은 부처의 덕이라고 적어 놓았답니다
1. 불교 정책 건국 초기부터 국가의 지원을 받으며 발전하였다
연등회와 팔관회를 중시하라고 당부하였다
2. 전개 고려 전기 의천과 무신 집권기 지눌을 중심으로 교종과 선종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30년정도 천하를 다스린 궁예를 그렇게 막을 내렸다
20. 태조는 훈요 10조에서 불교를 중시하고 연등회와 팔관회 같은 행사를 소홀히 하지 말것을 당부하였다
이부,호부,예부,병부.형부,공부의 6부가 있다
나라를 다스리는 바른 방법 열 가지인 훈요 10조를 남겼어요
관리를 뽑기 위해 시행된 시험 제도이다
하지만 요나라 장수가 고려 땅 중 한부분 달라고 한다
전하는 메시지인 훈요 10조를 만들었습니다
Comments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