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운동에 빠질 수 없는 승부욕에 관하여

기록에 도전해보는 식으로 해보는 게 더 좋습니다
이는 자칫하면 승부욕이 과하게 높은 아이로 자랄 수 있답니다
승부욕 강한 아이 .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이때 아이의 마음이 진정될 때 까지는 우선 아무말 없이 아이를 기다려주세요
슬픔과 좌절을 다루는 방법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아이가 너무 1등만을 바라보게 하지는 마세요
이기려고만 하는 아이, 어떡해야 할까요?
2단계 경쟁에서 좌절한 아이의 마음을 공감하고 격려해주세요. 흥분한 상태가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려주고 아이를 안아서 달래주는 것도 좋은방법이에요
아이가 지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격려해주고 감정을 올바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먼저 도와주세요!
부모의 세심한 칭찬과 격려가 있다면 아이들의 과잉 행동들은 충분히 고쳐질 수 있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방관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생깁니다
3단계 결과보다는 아이가 시도했던 과정에 관심을 보여주세요 지나치기 쉬운 과정을 다시 되새기며 지지해준다면 승부욕보다 자신감이 더 쑥쑥 자라날거에요!
또한 부모가 권위적으로 아이를 대한다거나 반대로 아이를 과잉보호를 한다면 갈등과 경쟁상황을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힘들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꼭 이겨라라는 말은 절대적으로 금물이에요
도전하려는 모습에서 이미 두각을 나타내기 때문인데요
최고가 되어야 직성이 풀리는 아이들을 말하는데요
안녕하세요. 헬로스마일 부산심리상담센터입니다
1단계 실패를 받아들이는 태도를 알려주세요 실패를 받아들일 때에 분노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져도 괜찮다는 것을 말로 표현해주세요!
상황을 올바르게 잘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굉장히 중요하다는 사실을 꼭 인지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적당한 승부욕은 자기 발전을 위해서 필요합니다. 또 매사에 열정적이고 도전적인 모습은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보여집니다
오늘은 승부욕 강한 아이 다루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든 게임에서 이겨야만 직성이 풀리는 아이! 절대 지지 않으려고 온갖 수단과 방법을 다 쓰는 우리 아이 승부욕 강한 아이를 다루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심각한 경우 따돌림을 당하게 될 수 있습니다
아이만큼 부모님의 마음도 기쁜것이 사실이죠
결국 사회성 자체에 큰 곤욕을 느끼게 되므로 조기에 바로 잡아주어야 해요
스스로 자기가 잘하는 것과 잘하지 못하는 것을 인정해서 여유로운 마음을 갖도록 도와주세요
굉장히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지시켜주세요
승부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주는 부모의 교육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긴 친구를 축하해 주는 것도 멋진 행동임을 알려주세요
유난히 양보를 하지 않는 자녀가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4-5세가 되면 경쟁동기가 강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이 때에 패배를 거듭 경험하게 되면 스스로 강한 좌절감과 분노를 느끼게 되지요. 그러면서 승자는 강자, 패배자는 약자 라는 생각이 강해지게 된답니다
단체생활을 할 때에는 큰 부작용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높으면 높을 수록 긍정적인 평가를 받게 됩니다
승부욕이 강한 우리 아이 좋은 해결책은 없을까?
여러 사람과 같이 게임을 하면서 자녀는 사회성이 발달이 되는데요
안 좋은 것 아니라는 것을 배우게 될 겁니다!
Comments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