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적 인산화 전자 전달계

2. 발효를 통한 에너지 생산은 효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필요한 양의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포도당을 소모해야 한다
12. 대부분의 에너지는 해당 과정의 최종 산물인 2분자의 피루브산에 그대로 저장되어 있다
4. TCA회로 해당 과정의 최종 산물인 피루브산은 산소가 있으면 미토콘드리아로 들어가 TCA 회로를 거지면서 CO2로 완전히 산화된다. 이 과정에서 고에너지 전자 운반체인 NADH와 FADH2가 만들어지고 기질 수준의 인산화에 의해서 1ATP가 만들어진다
해당과정, TCA 회로에서 생성된 10NADH와 2FADH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일어나는 전자 전달계에서 산화되는 부분입니다
24. 아세틸-CoA는 많은 이화 작용의 결과로 만들어지지만, 아세틸-CoA를 사용하는 과정은 한정되어 있다
오늘은 세포 호흡에 관해 적어보려 합니다
폭발영상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그 규모가 엄청나다
5. 미토콘드리아는 길이가 23마이크로이터, 두께는 1마이크로미터 정도 되는 매우 작지만, 세포 호흡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 세포 소기관이다
4. 즉,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소라고 할 수 있다
11. 포도당에 저장되어 있는 화학 에너지의 극히 일부분만 이용한다
16. 아세틸-CoA는 대부분의 연료 물질들이 TCA 회로 속으로 들어가는 기본적인 분자 형태이다
18. 위 3가지 반응은 5가지 보조 인자 + 3종류의 서로 다른 효소로 구성된 피르부슨 탈수소 효소 복합체에 의해서 촉매 된다
항만에 위치한 화학물질 저장창고에서 폭발이 일어나 수십명의 사망자와 수백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한다
5. 전자 전달과 인산화 해당 과정과 TCA 회로에서 생성된 NADH와 FADH2는 전자 전달계를 거치면서 수소 이온H+을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내막 밖으로 펌프하여 H+ 농도 기울기를 형성한다. H+ ATP 합성 효소를 통해서 기질로 들어오면서 ATP가 만들어진다
15-3. 피루브산에서 탄소 원자 하나가 제거되고 남은 아세틸기에 CoA가 결합하여 활성 아세트산인 아세틸-CoA가 만들어진다
화학물질 폭발이 일어나면서 각종 유해물질들이 대기중으로 퍼져나갔을 걸 상상하니 더욱 아찔하다
10. 미토콘드리아 내막 한 쪽은 기질로서, 이곳에는 TCA회로와 관련된 많은 효소들이 있다
25. 아세틸-CoA가 어떤 경로로 갈 것인가는 세포의 ATP 수준에 의해서 좌우된다
14. 미토콘드리아에서 피루브산은 TCA 회로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분자 형태인 아세틸-CoA로 전환된다
15-1. 피루브산의 탄소 원자 하나가 CO2의 형태로 제거된다
15-2. 피루브산이 산화되면서 NAD+ 한 분자가 NADH로 환원된다
17. CoA Coenzyme A는 수용성 비타민인 판토텐산을 갖고 있고, 아세틸기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13. 세포질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세포질에 있는 피루브산이 완전히 산화되기 위해서는 TCA회로가 있는 미토콘드리아로 들어가야 한다
7.내막은 주름이 많은 크리스타 구조를 하고 있는데 이것은 내막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15. 피루브산은 세 가지 반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아세틸-CoA로 전환된다
6. 엽록체와 마찬가지로 미토콘드리아도 내막과 외막의 이중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호흡 어렵지도 쉽지도 않은 생명과학2 부분입니다
23. 피루브산에서 아세틸-CoA가 생성되는 반응에서 1분자의 NADH가 생성되는데 이것은 나중에 전자 전달계를 거쳐 3분자의 ATP를 생성한다
1. 생물은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는 발효를 통해서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한다
22. 티아민이 결핍될 경우, TPP의 부족으로 정상적인 피루브산의 산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체내에 피루브산이 축적된다
3. 해당 과정은 세포질에서 일어나지만 TCA 회로와 전자 전달계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
Comments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