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et 생물 항생제의 작용 - 2. 반코마이신vancomycin, 반코마이신 저항성 세균V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감염증이란, 항생제로 알려진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vancomycin-resistance enterococci, VRE 에 의한 감염을 말합니다
CDAD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유전형. 그리고 치료metronidazole을 PO로 쓰지만 vancomycin PO를 처음부터 사용해야 하는 적응증. recur시에 mangement 가 잘 나와있다
첫 episode의 경우 Vancomycin PO 125mg qid 혹은 fidaxomicin 200mg bid 로 치료한다
Metronidazole은 경구 vancomycin과 경구 fidaxomicin이 이용 가능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약제입니다. Metronidazole은 매우 고령이거나 병약하거나 IBD와 관련된 CDI 환자에서 피해야 합니다
반감기가 vancomycin보다 길어 하루 한 번의 투여로 충분하다
심한 경우 경구용 metronidazole이나 vancomycin 으로 10일간 치료하면 94% 이상이 치료된다
하지만 같이 근무하시는 분은 Vancomycin의 예방적 사용에 대해 심한 거부감을 표시하더군요
vancomycin은 MRSA감염에 사용되나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의 발현때문에 clindamycin을 먼저 쓴 다음순서이다
Vancomycin 은 이독성을 유발하여 난청을 일으킬 수 있다
Vancomycin 은 분자량이 커서 skin test시 무조건 positive가 나오므로 skin test를 하지 않는다. 대신 약물 투여시 주의깊게 관찰한다
내성이면 vancomycin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MRSA 의 치료는 현재 glycopeptidesvancomycin, teicoplanin이 기준이다
연구진은 지난 2007년 이후 카바페넴carbapenems을 포함한 강력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심하면 toxic megacolon, colon perforation, pseudomembranous colitis, sepsis - death 까지 CDC에 나와있다
Lt. hip 주변으로 tenderness, edema 및 열감이 느껴졌다
우리몸에서는 주로 피부나 상부호흡기입과 코, 인두와 후두에 군집을 이루어 살고있습니다
최근 질병관리본부 급성설사 질환 원인병원체 분리 검출 현황을 보면, 노로바이러스가 가장 흔하고, 세균성 원인 균으로 살모넬라균salmonella, 대장균Pathogenic E. coli, 캄필로박터가 비슷한 정도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초음파검사를 해보면 결석과 방광염의 유무를 금방 확인할 수있어요
그런 경우에는 감염성 심내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답니다!
항암 스펙트럼이 넓지만 내성 암세포의 등장으로 치료상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세포막 당단백질 P170을 다량 발현함으로서 세포밖으로 능동수송한다
아직 연구 결과가 많지 않아 논란중입니다
3편 전략을 짭니다. 항균제 처방의 원리를 압니다
이런 환자들에게 적절하게 영양을 공급해야 환자의 생명을 지킬 수 있겠죠
그럴수록 더 강한 내성균들이 고개를 쳐들었습니다
위 업무들을 제가 다 해본 것은 아닙니다
주말을 앞두고 심각 한 이야기만 한것 같은데요
혈압 상승 미열에 의한 어느 정도의 혈압상승을 감안하더라도 나이를 고려하면 혈압이 너무 높다
복막안에는 위, 소장, 대장, 간, 담낭, 비장이 위치한다
마지막으로 항생제 내성에 대한 흔한 오해 두 개를 짚어보겠다
마지막까지 최선의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노력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죠
락톤 환의 5번 또는 3번에 하나 이상의 당 화합물이 결합하고 있다
감염이 지속되면 rifampin 추가 할 수 있다
fluoroquinolone 사용자의 17% 에서 어느정도의 위장관 부작용이 있다
치료에도 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내용으로라도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백혈구 분획 중 90%이상 다핵구인 경우 화농성 관절염을 뒷받침하는 소견이다
반감기는 평균 6시간으로 투여량의 8090%는 콩팥 을 통해 배설되고 일부는 담즙 을 통해 배설됩니다. vancomycin 은 복강, 심낭, 관절낭 내로 잘 침투되며 뇌척수액으로는 잘 침투하지 못하나 수막염이 있는 경우엔 투과성이 향상됩니다
약물 알레르기는 면역학적 기전에 의해 나타나는 일련의 과도한 약물 유해반응으로 약물 자체의 특성과 무관하게 일부 환자에서만 나타나며 면역학적 기전이 증명되어야 하기 때문에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의심될때 일반적으로 약물 과민반응이라고 하는게 더 적절하다
대화에도 규정지었듯이 현재까지 안내염을 예방하는 처치로서 근거가 확정confirm된 경우는 1% Povidone-iodine용액의 사용이 유일한 방법 인점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부작용 소화관 내에서 펄 이온과 결합하여 적변을 나타낼 수 있다
칼슘제제와 아세틸콜린제제를 투여하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Tn917 은 주로 macrolide, lincosamideclindamycin, streptogramin 내성에 관여한다
년대 이후부터 그야말로 항생제를 쏟아부었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양이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이유로 인해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이 빈번해졌습니다
원외감염의 원인으로는 흡연, 폐렴구균, 겨울철이 위험하고 원내감염은 녹농균, 황색포 도상구균, 폐렴구균이 있습니다
Fulminant CDI 치료에 대한 항생제는 enteral vancomycin과 parenteral metronidazole입니다
또한 장알균은 페니실린과 세파로스포린계 등 여러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고 , 광범위 항생제로 알려진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vancomycin-resistance enterococci, VRE이 증가 하면서 병원내 감염관리에 중요한 균이 되었다
장마비가 동반된 환자에서 rectal vancomycin이 retention enema로서 투여될 수 있습니다
한편 황색포도상구균의 전파는 사람간의 접촉을 통해서 이루어질수 있기때문에 병원내에서는 늘 손씻기를 통한 감염예방등이 필요합니다
3. 로도질 -주의 복용 중 술을 마시면 머리가 아플 수 있습니다
Comments (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