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기념 한글 창제원리 강연 2015.10.4일/ 10. 9금

동혁이랑 유진이랑 광화문으로 고고씽 했습니다.
이렇게 자음자 5개와 모음자 3개에 획을 더하고 글자를 합하여 훈민정음은 총 28자가 되었다.
우리가 너무나 잘 아는 그 이유. 백성의 쉬운 문자생활을 위해서입니다.
한글의 창제 원리를 그림으로 설명한 것입니다.
꾸준한 노력은 분명히 성적으로 돌아올거에요!
순음은 입의 모양, 치음은 이의 모양, 후음은 목구멍을 본떠서 만들었죠.
지구상에는 4,000가지 이상의 언어가 있고 40여개의 글자가 있다고 합니다.
저 라고 글씨를 알려주니. 5살 아이가 젖소 라고 크게 얘기하는거예요 하하 젖소 는 글씨 모양이 달라 얘기해주면서 핑크색 종이에 적어서 보여주었습니다 그랬더니 제가 쓴 글씨를 모두 따라 쓰더라구요 요즘 부쩍 쓰는 재미를 들였나봅니다
현재 훈민정음 해례본은 전형필의 염원이 깃든 간송미술관에 소장돼 있다. 해례본은 1962년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고, 지난 199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됨으로써 세상에서 가장 가치 있는 책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직접 주문하여 직접 읽어보고 직접 펼쳐보았습니다.
문법이 먼저 나오는 학교들이 있더라고요!
특별전시 세종대왕, 한극문화 시대를 열다
현재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조선시대의 상황과 현대시대를 넘나드는 장편 뮤지컬로 기획중입니다.
다음의 세종이야기 카페에서 신청 하셔요
안녕하세요 기탄 안녕성호교실 안녕샘입니다.
지난 월요일 대기 하고 예약에 성공 했지요
세종 대왕 이름이 뭔지 아냐고 묻습니다
답은 교과서를 보시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아음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떴고, 설음은 혀가 윗잇몸에 붙는 것을 본떠서 만들었습니다.
고학년것도 만들어 달라고 건의 해야 겠어요
중2가 아니라도 국어문법 공부는 해두면 좋은거 알죠?
최근 UN 개발계획 및 유네스코 산하단체에서는 대한민국의 문맹률을 각각 2.1% 2.0%로 발표하했는데, 이 수치는 전 세계적으로도 가장 낮은 문맹률에 속합니다.
좌석 여건상 일정인원만 참가할 수 있으니 댓글이나 쪽지로 신청해주세요.
학생들 내신을 준비해주다가 도움이 될까 싶어서 올립니다.
하늘이라고 쓴다 쓰자마자 하늘 푸르다 못해 또 푸르다
빈 칸 넣으면서 생각 해 볼 수 있지요?
한글창제원리-음가 수업으로 한글을 진행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사용하는 말과 글이 중요합니다.
훈민정음 자음만 살펴보자면 크게 아. 설. 순. 치. 후 다섯 음으로 나눴습니다.
원리의 뜻과 어떻게 이루어진 글자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이 더 세지는 경향이 없어 따로 분류합니다!
기본자 5개에 획을 더해 ,,,,,,,, , 9자를 더 만들고 옛이응, , 반시옷 3자를 더하여 자음자는 총 17자가 되었다.
중국의 한자와 일본의 가나를 제외하고 세계의 모든 문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하나하나의 소리로 표기되는 음소문자입니다.
훈민정음을 만드는 것은 처음부터 슬기를 마련하고 애써 찾은 것이 아니라, 다만 그 성음을 바탕으로 이치를 다한 것뿐이다.
왼쪽 기본틀미음 네모안에 자음을 넣준 것이 이름이다.
모음 3개 아래아. . 로 만드셨다고 설명하더군요
한글은 자음자 17, 모음자 11개, 총 28자로 구성된 문자로 기본 자음자 5개 , , , , 제자 원리의 가장 큰 특징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는 점이다.
아는 세상에 처음 존재하는 하늘을 뜻하고, 는 모양처럼 평평하여 땅을, 는 사람을 뜻하여 , , 3재가 모음자에 담겨있다.
P.S 용어의 개념을 잘 정리하는 것이 중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또는 음절을 찾아서 단어를 만들어 볼 수 있는 자료입니다.
이에 세종대왕은 모든 백성들이 글을 쉽게 배우고 익히며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훈민정음을 만들었습니다.
합용병서가 초성에 나올 시 어두자음군이라 하는데, 뒤의 자음을 된소리로 발음하면 된다
천재 교과서나 비상 교과서는 2학기 과정인데요
다소 어려운 이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쓰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훈민정음 이십 여덟 자는 각각 그 모양발음기관을 본떠서 만들었다. 이렇게 적혀 있지요.
작성 글은 등록일을 기준으로 하며 출처 사이트의 사정으로 링크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의 뜻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입니다.
그이는 나의 말이다 나의 글이다 나의 3 천년이다
아이스크림 하나씩 먹으며 행복해 합니다.
아이들이 한글을 읽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오행은 목, 화, 토, 금, 수를 말하는 것이지요. 이렇게 훈민정음은 성리학에 이치에 따라 배분한 것입니다.
훈민정음의 창제로 누구나 글자를 아주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이후 한국인은 독특한 민족의 말을 완벽하게 적고 표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민족문화가 새로운 차원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훈민정음, 즉 한글이 걸어온 길이 순탄했던 것은 결코 아니다.
Comments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