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출을 이용하여 지구 반지름을 재는법

엇갈려 있는 각의 크기가 같다는 원리죠
여기서 중심각을 구하는 방법은 이 그림에서 나왔듯이 막대와 그림자 끝이 이루는 각과 중심각이 엇각으로 같다는 것을 이용하여 구합니다
동영상에서 보셨겠지만 다시 한번 정리해 보아요
먼저 지구의 크기 를 어떻게 측정할까요?
1 물체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시지름은 작아진다
5 이렇게 측정하려면 2가지 가정이 필요한데 설명해 주세요
북극성의 고도가 북쪽 지방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2 측정 원리 원에서 호의 길이는 중심각에 비례한다
크기를 잰다는 것은 크기가 있다는 뜻이고 땅과 바다가 끝도 없다고 한것과 말이 안 맞는다
측정 원리 중심각의 크기는 원호의 길이에 비례한다는 원리 호도법 를 이용하였다
2 동쪽으로 갈수록 해가 뜨는 시각이 빨라진다
그 높이의 차이로 지구의 반지름을 계산할 수 있다
측정값6400km보다 약 15% 크게 나타납니다
위도가 712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았다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그렇게 지구의 둘레와 반지름을 구했습니다
오늘도 과학 이야기를 올리는 꼬꼬마회짱님입니다. 이번엔 첫번째 지구과학인 태양계와 행성입니다
3 고위도 지방으로 갈수록 북극성의 고도가 높아진다
2 천체의 시지름은 관측자의 눈과 천체 지름의 양끝이 이루는 각도로 나타낼 수 있다
쎈수학러닝센터 스마트쎈클래스 전북지사 자료실입니다. 가입 제한 없습니다
이 위도 차를 이용한 측정 원리도 원에서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합니다
더 많은 자료를 원하시면 쎈수학러닝센터 전북지사 네이버 카페를 방문해 보세요
겉넓이는 약 5억 , 부피는 약 1조가 된다
중학교에 들어오시면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라고 다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 수학자는 하짓날 정오에 시에네에는 햇빛이 수직으로 비쳐 그림자가 생기지 않지만, 알렉산드리아에서는 그림자가 생긴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지구의 크기를 구하였습니다
측정해야 하는 값은 같은 경도에 있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인 호의 길이l과 같은 경도에 있는 두 지점의 위도 차인 중심각의 크기 입니다
3 태양과 달의 시지름이 약 0.5로 거의 같은 것은 태양이 달보다 매우 멀리 있기 때문이다
구하는 방법은 쉽지만 기발한 것 같아요. 이 분 아마 매우 똑똑한 분임에 틀림없습니다
1 시에네에서 막대 그림자 끝과 막대가 이루는 각이 약 7.2이므로 시에네와 알렉산드리아의 위도 차이는 7.2이다
해설 당시 측정 기술로 정확하게 측정하는것은 불가능 하겠죠
6 북반구에서 남반구로 여행할때 별자리가 다르게 보인다
과학의 범위를 우주로 향해서 공부하는 단원이다
이렇게 원에서 호의 길이l는 중심각의 크기 에 비례하니 위에 있는 식처럼 비례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b를 구하기 위해 a를 구해도 되는 거죠
이 단원의 공부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측정하지는 못했지만 어쨌든 거리를 구해냈습니다
2 비례관계 알어 예를 들면 키가 크면 발 크기도 크다
우리 지구는 옛날에 어떤 유명한 수학자가 지구의 크기를 최초로 측정했답니다. 그의 이름은 정말 유명한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입니다
그건 바로 원에서 호 원은 그 위에 있는 두 점에 의하여 두 개의 곡선으로 나뉘는데, 각각의 곡선을 호라고 한다. 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것 입니다
태양이 뜨는 시각이 동쪽으로 갈수록 빨라진다
먼 바다에서 항구로 들어오는 배는 돛대부터 보인다
막대를 수직으로 지면에 세워서 그 그림자의 길이를 조사하였다
키가 200cm이고 발이 300mm라고 하면 키가 100cm이면 발은 몇 mm 일까?
5 먼 바다에서 항구로 들어오는 배는 돛대부터 보인다
하인이 힘들어 죽겠는데 정확하게 측정하지도 않았겠죠
그 때 당시 측정 결과 는 약 7.2 이며, 시에네와 알렉산드리아 거리는 925km이였습니다
이 중 반지름만 알면 나머지는 이반지름을 기초로 알아낼 수가 있다
2 시에네와 알렉산드리아는 동일 경도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반지름 원둘레 겉넓이 부피가 지구의 크기를 나타낸다
사진 좋아하는 사람들은 적도를 넘어 남반구로 밤하늘 별 사진찍으러 가는 사람도 있어요
당연히 150mm이지. 키가 반으로 줄었으니. 맞았다
Comments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