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5-측정의 불확정성&유효숫자

그렇지만 c가 우선되며, d도 역시 인정된다
의 경우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습니다
일반물리 문제같은 거 풀 때 이거 쌩까고 풀면 풀이과정은 맞는데 답지에 나온 답이랑 직접 풀어본 답이랑 서로 다르게 나오기도 합니다
측정값의 수치맺음에 대해서는 통상 적용되는 규칙이 있다
답은 2개 이다. 4는 확실히 알고 있는 수이며, 7은 추정한 값이다
이때 총 질량은 22.745g이지만, 계산 값은 22.7g으로 표기한다. 22.745에서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양호하게 읽은 값이 47 mL 라면 47 mL 1 mL 로 표시한사람은 46 mL로 읽었고, 다른 사람은 48 mL로 읽었다면 1 mL 오차 내에 있으므로 모두 올바른 답이다
2. 가장 작은 눈금의 1/10 또는 0.1을 읽는다. 이 규칙은 어떤 측정에도 적용된다
4.000에서는 굳이 .000을 밝혀 적은 것이므로 뒤의 0이 유효하다
수치 계산에 관한 질문, 표기에 대한 물음은 오픈 댓글을 달아주세요. 공부 포스팅이니 함께 고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끝 자리수와 더불어 가장 가까운 수를 선택하여야 한다
d 5c와는 반대로 5는 일반적으로 올림한다
그냥 대충대충 풀었으면 좋겠는데, 저거 하나 때문에 계산할 때 상당히 짜증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대부분의 컴퓨터프로그램은 이 규칙을 따른다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기억해두셔야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궁금한 점이 하나 생기게 됩니다
이는 읽는 값의 오차판독오차를 의미하는데 측정기에 표시된 최소눈금의 1/10 을 의미한다. 만일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최소눈금의 1/5을 읽는다
측정값이 6, 6.0, 6.00이라고 하는 것은 각각 수치맺음하여 6 과 6.0, 6.00 이 되는 범위에 참값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EA-4/02교정에서의 측정불확도의 표현 6.3 항에는 수치맺음에 관련된 표현이 있다
따라서 10 mL의 1/10 인 1 mL 까지 읽을 수 있다
질문이나 오류 지적은 댓글에 남겨주세요!
4. 과학적 기수법에 따라 유효숫자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3500Kg에서 뒤의 0은 표기에 따라 유효숫자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실험실에서 부피를 측정할 때 눈금이 표시된 비이커, 메스 실린더, 뷰렛 등 여러 가지 기구로 측정할 수 있다
20.05.03 이후로 댓글로 질문 받지 않습니다. 나중에 질문 내용 중 괜찮은 것들을 모아서 리포스팅 할게요
0.00 413 m에서 유효숫자는 4, 1, 3 이렇게 3개다. 그 앞의 0은 소수점을 옮겨 찍은 것이다
물리량을 측정한 값은 측정의 한계 때문에 오차를 갖게 된다. 실질적으로는 불확실한 측정치의 끝자리까지를 유효숫자에 포함하는 것이 관례지만, 가시성과 편리성을 고려해 통용되는 규칙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측정결과의 수치는 불확도의 마지막 수의 소수자리와 일치시킨다
3.500 103은 4개 의 유효숫자를 가진다
계산에 사용한 숫자들 중에서 가장 작은 소수점 이하 자릿수에 맞춘다
1. 숫자 첫머리에 있는 0은 유효하지 않다
저도 개인적으로 상당히 싫어하기도 하고요,, 만악의 근원입니다
가령 83.5ml와 23.28ml의 물을 더한다고 했을 때, 합은 106.78ml이지만 106.8ml 로 소수점 이하 한 자리로 맞추는 것이다. 83.5ml에서는 소수점이하 두 번째 자리만큼 정확히 측정한 이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되는 측정기가 정확도를 알 수 있는 다른 정밀한 측정기와 비교하여 교정되어 있지 않으면 측정기의 정확도는 알 수가 없으므로 교정의 필요성은 말할 것도 없다
Comments (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