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은 ?

방법도 어렵지 않으니까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날 아침에 다시봐도 정상으로 뜹니다
꽤 시끄러운 소리와 함께 공기가 야무지게 들어간다
에어호스만 연결해주면 끝! 36으로 넣어뒀던게 들쑥날쑥, 35, 32, 28까지 떨어지기도 했더라구요
위에를 살짝눌러 잘 연결이 되었다면, 기계에서 알아서 충전이 시작됩니다
짜잔! 한 1분 달리니까 정상으로 돌아왔어요
psi는 프사이라고 읽으며 Ponud per Square Inch를 줄여 말하는 압력의 단위입니다
우선 기계 앞에 차를 주차해주시구요, 이렇게 생긴 기계를 찾아가시면 됩니다
연비나 성능 등을 고려한 일반적인 기준값이구요
가운데 숫자가 타이어 공기압을 얼마로 설정할지 표시하는 거구요, 아래 -, + 버튼으로 차량에 맞게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없고 8085%정도를 유지하는게 좋다고하고있어요
여기에 적정타이어 공기압이 적혀있었습니다
4짝 다 날이 추워지고 급 낮아진점 등등 #셀프 로 공기압을 먼저 채워보자 싶어서 달려갔답니다!
더욱더 안전한 자동차 운행을 할수있을거같습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게 설정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에 사용방법이 나와있는데 다시한번 사진과 함께 설명 드릴게요
공기압은 보통 주유소 정비코너&청소코너에 무료로 이용하도록 비치되어 있어요. 고속도로 휴게소에도 있답니다
연결방법은 어렵지않고 그냥 끼워주시면 됩니다
운전석 도어 옆을 확인해보니 탑승 인원에 따라서 이렇게 또 표시가 되어 있네요. 지난번 서비스센터 갔을 때, 36 넣어줘서 기준은 36으로 했어요
저는 잘못연결해서 바람이 다 샜는데 다시 바로잡으니 정상적으로 충전완료! 당황하지마시고 다시 껴보세요
아직 겨울철 눈길운전은 한번도 안해봐서 다가오는 겨울이 상당히 무섭다
6p와 8p 10p등 의 차이로 정해지는대요
부저음이 울리기도 하지만 기계를 쳐다보면 실시간으로 공기 들어가는 수치가 보여요
무심한 듯 쉬크하게 고무마개 돌려서 빼줍니다
물론 매장의 기계는 공짜? 로 쓰는 셈이니 감사하는마음으로 부탁하면되겠다
타이어에는 꼭 마개를 다시 껴주셔서 바람이 새는걸 방지해주시구요
설정을 다하셨으면 충전하실 타이어에 가셔서 마개를 빼주시고 공기압 기계 호스와 연결해주세요
더욱더 위험한 상황이 올수 있기 때문이죠
견뎌낼 수 있는 적재 중량을 의미합니다
Comments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