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정간보 비익련리 추노 ost

오늘은 정간보 에 대한 포스팅을 할 거예요 정간보는 무엇일까요?
한자는 입니다 . 중 임 무 황 태 라고 읽는데 이것은 중간음이고 위에 악보 처럼 옆에 삼수변이 붙어 있는 것은 높은 음을 나타냅니다
굵은 선을 기준으로 대강 이라고 부릅니다
국악 율명은 총 12가지 황, 대, 태, 협, 고, 중, 유, 임, 이, 남, 무, 응이 있습니다
향악 은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세종대왕은 한글창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음악적 영역에도 대단한 업적을 남겼는데 요
조선 초기 중국의 음악양식을 모방해 창제된 음악도 양식적으로는 당악에 속합니다
많은 분들이 우리음악을 즐길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예전에 16정간보 라는 글로 하나 올렸었는데 사용하려고 보니 15정간이더라구요!
10 정간 ,8정간 ,6정간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이 되고있습니다
궁중음악 중 전래음악을 의미하지만 근래에는 민간 풍류까지 포함하기도 합니다
음율의 원래 이름이 황종, 태주입니다. 이것들을 흔히 짧게 첫 글자만 불러 황, 태라고 합니다
지금 또 16정간보를 찾게되는 이유가 뭐가 있을까요
가곡, 시조, 가사 등 현재 연주되고 있는 곡들의 개관과 함께, 1930년대 이은상의 시조에 곡을 붙인 홍난파의 가곡들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해 본다. 부록으로 진작정과정, 만대엽 등의 노랫말 얹기를 종합 비교한 가로 정간보와, 저자의 관련논문 3편을 함께 실었다
그래서 제가 올립니다 ! 기쁜마음으로 올립니다
아쟁하는 제가 16정간이 필요하게 된것은 가곡 음악작업을 하게 되면서였는데요
그리고 두번째 줄에서 밑에 세칸을 보면 태 다음에 칸이 비워 있데 태를 두박으로 연주하라는 것입니다
다음에 더 재미있는 국악 이야기로 만나요
지금까지 김포실용음악학원 아이씩스티원 실용음악학원 이였습니다!
지난 번에도 살짝 언급 했는데, 음이름은 높이, 헤르츠에 따른 음의 절대적인 이름입니다
음이름을 알면 튜닝기로 조율하고, 오선보로 표기된 국악보를 보기도 편하겠지요?
2. 오선보는 서양의 문물개념이 아니라 그냥 보편성을 인정받은 기보법이다
그리고 다음 칸에 표시가 있는데 이것은 쉬라는 의미입니다
근래에는 넓은 의미로 궁중음악, 풍류음악을 일컫는 말이고, 좁은 의미로는 문묘제례악입니다
민속악과는 구별되며, 민속악은 판소리, 산조, 민요 등입니다
오랜만에 국악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해요
위에 사진 처럼 정간이 분간되어 더 짧은 음도 표현 할 수 있고 또 다른 부호와 장식음으로 더 다양한 음악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로 음높이와 율명을 확인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생각보다 국악의 음이 많이 있지요?
지난번 포스팅으로 국악의 기보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그래서 제가 올립니다! 기쁜마음으로 올립니다
단소 악보 쉽죠? 열심히 연습해 보셔요. 서양 악보도 척 보고 알았던 거 아니었어요. 단소 악보라고 척 보고 알 수는 없으니 차근히 연습해 보세요
당악 은 중국에서 전해진 음악이라는 뜻으로 중국 궁정연회에 쓰이던 속악을 의미합니다
은 황을 반 채우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황이 한박 반이 되고 태는 반박이 됩니다
전해지는 중국계통의 궁중음악이 문묘제례악 하나라서 그렇지 아악제례악인것은 아닙니다
요즘 저에게 제일 필요한 정간보는 16정간보네요
안녕하세요 김포실용음악학원 아이씩스티원 실용음악학원 입니다!
황의 향악과 아악에 사용되는 음높이가 각각 이것입니다.라고 알려드리기 위해 표기된것 입니다
악보에는 주로 한자만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니 한자도 같이 아시는게 좋겠죠?
위의 오선보 이미지의 율명과 음이름을 표로 다시 정리했습니다
4정간씩 굵게 줄 그으셔서 천년만세용으로 쓰셔도 될거같아요
Comments (12)











